이슈연구소

미세 플라스틱 소금 매년 2000개 섭취 본문

오늘의 토픽

미세 플라스틱 소금 매년 2000개 섭취

다이엔킴 2018. 10. 20. 12:25

 안녕하세요 이슈연구소 입니다.

우리가 매일 섭취하고 있는 소금에서 플라스틱이 검출됬다면 여러분 믿어지시나요?

미세 플라스틱 소금 한국 천일염 소금





 20일 김승규 인천대 교수팀에서는 6개 대륙과 21개국에서 생산하는 39개 브랜드의 소금들을 모아 분석해본 결과 3개를 제외하고 36개의 제품에서 미세한 플라스틱이 발견되었습니다. 이 실험에는 한국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3개의 브랜드 천일염도 포함되었습니다. '식용 소금에 함유된 미세플라스틱'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여기서 미세플라스틱이란 5mm이하의 작은 플라스틱을 나타냅니다.





 조사 대상이 된 소금 39개 중에서 28개는 해염으로 세부적으로는 26개가 천일염, 2개가 정제염이고 9개는 암염, 2개는 호수염입니다. 미세플라스틱의 함유량은 바다소금에서는 1kg당 0~1674개, 암염에서는 0~148개, 호수염에서는 28에서 462개가 검출되었습니다. 지역으로 구분을 해보면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된 소금에서 플라스틱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이 많이 함유되어있는 10개의 소금 중에서 9개가 아시아 지역의 소금이었습니다. 가장 플라스틱 오염도가 높은 소금은 인도네시아 소금으로 1kg당 1만3000여개의 플라스틱 입자가 발견되었습니다.

한국제품에서는 1kg 당 100~200개가 발견되었고 중국의 정제암염, 프랑스의 천일염, 대만의 정제염에서 플라스틱이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인도네시아는 중국 다음으로 세계2위의 플라스틱 폐기물 배출국으로 8만개에서 17만개의 플라스틱 폐기물들을 바다로 내보내고 있습니다.





 한국의 천일염 3개에서 1kg당 100~200개 정도의 플라스틱이 검출되었고 조사에 쓰인 제품 28개의 해염 중에서는 상위권을 차지 했습니다.

바다로 흘려보내는 플라스틱이 해산물과 소금을 통해 다시 우리 몸으로 들어오는 것이지만 미세 플라스틱이 인체로 침투하는 경로는 다양하여 소금을 통해 섭취되는 플라스틱의 양은 6%로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라고 김교수는 말했습니다.







세계 평균 소금의 하루 섭취량(10g)을 기준으로 하고 1인당 2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매년 소금을 통해서 섭취하게 되는 것이라는 연구팀의 결과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국민 한명의 매년 소금섭취량으로 보았을 때 3.5kg을 먹는 것인데 국민 한명이 매년 500~8000개의 미세 플라스틱을 소금과 먹고있는 것으로 계산이 나오게 됩니다.


이 연구의 핵심이라면 해염 섭취가 위험하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환경에 매일 배출하고 있는 쓰레기의 양과 우리가 다시 섭취하게 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은 연관이 되어있는 것 입니다.

세계적인 플라스틱 오염은 한국도 예외가 아닐 뿐더러 플라스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도 규제를 해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플라스틱이 만들어진 이유는 상아를 이용해 당구공을 만들던 옛날, 상아를 대체할 물질을 찾게되었고 1868년 미국의 과학자가 플라스틱을 발명했습니다. 세계 최초의 천연수지인 셀룰로이드 였습니다. 그것은 당구공으로 쓰기에는 너무 잘 깨지게 되었고 안경테나 단추 등으로 이용되어왔습니다. 1909년 합성수지 베이클라이트가 개발되었고 이것이 본격적인 플라스틱의 시대를 시작하도록 했습니다. 성형하기 유용하다 라는 그리스어인 플라스티코스에서 플라스틱이라는 이름을 따와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플라스틱은 기적의 소재로 20세기 불리어왔고 진화를 계속 거듭하며 인류의 삶에 무궁무진하게 편의성을 높여주었고 수백의 온도에서도 견딜수있고 철사보다도 강한 플라스틱이 개발되었습니다. 청동기,구석기를 지나 지금은 플라스틱 시대라고 불리어도 될 정도 입니다. 



플라스틱은 썩지도 않고 미세한 플라스틱으로 부서질 뿐 사라지지 않고 생태계를 파괴하며 먹이사슬을 다시 타고와 인간의 식탁에 오게 됩니다. 아직은 유해성이 정확히 확인되지 않아서 기준치를 정할수는 없지만 최근들어 플라스틱 조각이 미세조각으로 되었을 때 생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고 독성이 강하다는 연구들이 생기고 있습니다.



Comments